건강검진에서 추가로 진행 가능한 검사 총정리
기본 건강검진 외에도 개인의 건강 상태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추가 검사들이 있습니다. 대표적으로 비타민D 검사, 체내 영양소 상태 검사, 활성산소 및 항산화 능력 검사, 면역력 관련 지표 검사, 종양표지자 검사 등이 있습니다. 각각 어떤 검사를 의미하고 어떤 경우에 도움이 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비타민D 검사
비타민D 검사는 혈액 내 25(OH)D 농도를 측정하여 비타민D의 결핍, 부족, 충분, 독성 여부를 진단합니다. 이 검사는 주로 뼈 건강, 근육 약화, 면역 기능 점검 및 결핍 위험 평가에 활용됩니다.
- 골다공증 예방 및 관리
- 면역세포 조절 및 호르몬 합성
- 햇빛 노출이 적은 사람의 비타민D 상태 점검
체내 영양소 상태 검사
이 검사는 혈액검사 및 소변 유기산 검사를 통해 비타민, 미네랄, 영양소의 결핍 또는 과잉 여부를 파악합니다. 개인 맞춤형 영양 보충 전략을 세우는 데 활용됩니다.
- 주요 항목: 비타민 C·D, 철, 칼슘, 마그네슘 등
- 프리알부민, 레티놀 결합단백 등 단백질 상태 확인
- 영양 불균형 개선을 위한 데이터 확보
활성산소 관련 지표 검사
이 검사는 혈액 내 활성산소(산화 스트레스) 수준을 측정하여 노화 및 염증 위험 정도를 평가합니다. 일반적으로 d-ROMs 테스트 등을 이용해 과산화물 농도를 확인합니다.
검사 결과는 생활습관 개선, 항산화 영양제 섭취 여부 판단 등에 활용됩니다.
항산화 능력 검사
항산화 능력 검사는 체내 산화스트레스를 얼마나 잘 방어하는지를 나타내는 검사로, TAS/TOS(총항산화력/총산화력) 지표를 통해 평가합니다.
- 체내 활성산소 방어력 측정
- 조기 노화 예방 및 피부·혈관 건강 관리
- 항산화 식습관 및 영양제 효과 확인
면역력 관련 지표 검사
대표적으로 NK(자연살해) 세포 활성도 검사가 있습니다. 소량의 혈액(1ml)만으로도 NK세포의 기능을 평가하여 암 발생 위험, 만성질환, 면역저하 여부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결과 구분: 정상 → 관심 → 경계 → 이상
- 낮은 활성도 시 면역 저하 가능성
- 면역력 강화 및 건강관리 방향 설정에 활용
종양표지자 검사
종양표지자 검사는 암세포나 병적 변화로 인해 생성된 특정 물질을 혈액을 통해 측정합니다. 조기 암 의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, 수치만으로 확진은 불가능하며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.
- PSA: 전립선암
- CEA: 대장암·폐암
- CA19-9: 췌장암·위암
- CA125: 난소암
- AFP: 간암
정기적인 기본검진과 함께 이러한 추가검사를 병행하면, 자신의 건강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하고 질병을 조기에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